컨테이너 영역
Social
정보보안


정보보안
비즈니스와 정보기술의 변화로 인해 정보보안 이슈 또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보보안 이슈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능동 적으로 정보보안 체계를 강화해 나가야 합니다. 특히, 정보는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니는 무형자산으로 조직 내·외부에 정보를 공유하면서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성격을 고려할 때, 업무 수행 과정에서 정보 흐름을 파악하고 정보보안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을 정확히 식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효성티앤씨㈜는 외부의 사이버 테러 혹은 내부 데이터 유출에 따른 정보보안 리스크 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정보보안 규정 및 운영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점검할 수 있는 조직체계를 구성하였습니다. 그리고 보안로그 검토, 보안 솔루션이 장착된 복합기 도입 등 사내 중요정보 유출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정보보안 조직체계
-
- 다른 업무와 정보보호 업무를 겸임하는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와 보안 담당자가 지정되어 있으며, 지주사의 정보보호 정책이 사업회사 내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지주사 보안팀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 각 사업장에는 사업장 보안 담당자, 각 팀에는 팀 보안 담당자가 지정되어 정보보호 정책과 활동이 현업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호 협조하고 있으며, 현업의 정보보호 이슈나 보안 사고를 접수하는 창구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 연관 부서의 지원이 필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인사/총무/법무/IT 주관부서 등이 포함된 정보보호 협의체(비상설)를 소집하여, 각 부문별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정의하여 협력하고 있습니다.
-
- 연 1회 전체 임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정보보안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부서별 보안 담당자를 대상으로 별도 오프라인 교육을 연 1회 실시합니다. 전사 게시판과 그룹웨어 팝업을 통해 변경된 정보보호 정책과 보안사고 예방 수칙 등을 공지하고 있습니다.
- 반기 1회 악성 메일 모의훈련을 실시하여 의심스러운 메일 수신 시 행동 요령을 숙지하도록 하는 등 보안사고 예방을 위한 인식 제고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신규 채용자 및 퇴직 예정자를 대상으로 정보보호 서약서를 작성하도록 하여 정보보안에 대한 의식을 고취하고 있습니다.
종류 대상 주기 메일/전사 게시판 안내 전 임직원 수시 그룹웨어 팝업창 생성 전 임직원 매일 1회 오프라인 담당자 교육 각 부서 내 정보보안 담당자 연 1회 전 임직원 이러닝 교육 전 임직원 연 1회 -
- 효성티앤씨㈜는 일반 사용자, 시스템 운영자별로 차별화된 접근통제 정책을 적용하여, 비인가 접근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 재택근무, 외근 등 사외에서 내부 업무시스템 접속시 VPN 을 이용해 통신 구간을 암호화 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개인별 OTP(One Time Password)를 이용한 이중(2-factor) 인증을 적용하여 계정 정보 유출 등으로 인한 사이버 보안사고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 정보시스템 서버 접근은 운영자 ID 외에 IP주소 제한, OTP 인증을 적용하고 있으며, 서버에서 수행한 명령어를 기록하여 보안사고 발생을 예방하면서, 사고 발생 경위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 효성티앤씨㈜는 문서 검색 시간을 단축시키고 문서 공유와 협업 제약을 해소하며, 문서 유통과정의 정보 유출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2019년 전 그룹사 공통으로 문서중앙화 시스템(ECM,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을 도입하여 선진화된 일하는 방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업장 전체에 일관된 문서 보안 정책을 마련하고, 문서 유통 과정 전반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 재택근무 시에도 문서중앙화 시스템에 접속하여 업무에 필요한 문서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재택근무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허가받지 않은 인원이 문서에 접근할 수 없도록 ‘Need-To-Know’ 원칙을 기본 적용하고, 추가로 세부적인 접근 권한 지정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문서 반출 시 사전 통제 절차를 도입하여 승인받지 않는 문서를 임의로 반출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